top of page

30대 초반 여성

시기적으로도 3-60채널에 대한 목마름은 증폭되고 있지만 어디서 갈증을 해소해야 할지 막막한 상태로 지내온 시기가 길었던 지라 내 채널(특히, 포맷채널)을 이해하고, 방향성을 잡을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컸다. 더불어 바이얼을 통한 일대일 세션이 처음인지라 궁금증도 컸었다. 바이얼 세션이 궁금하기도 했고, 최근 읽고 있는 ‘의식혁명’의 키네지얼러지를 적용한 실용적 분야이기도 해 검증해(?)보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개인의 탈조건화 과정의 경험담은 과히 흥미로웠다. 부럽기도 했다. 이전의 선생님 모습은 잘 모르겠지만, 분명 지금 내가 느낄 수 있는 것은 선생님만의 시끄럽지 않은 정돈된 강한 에너지가 있다는 것이다. 부담스럽지 않고, 불편하지 않은. 하지만 영향을 미치고 있는.

3-60채널이 제대로 발현되면 저러한 모습일까? 끝없어 보이는, 아주 오랜 시간의 moodiness와 우울함을 견뎌내고 결실된 열매의 맛은 본인만이 알 수 있을 것이다. 지금으로서 나는 감히 상상도 못하겠는.

바이얼 세션.

“나는 동정 받을 존재다”

맵핑을 해본다. 동정에 대한 단어의 느낌, 과거의 기억들, 현재의 나의 상태.

‘동정’이란 단어에서 연상되는 느낌이 썩 유쾌하진 않다. 동정이 주는 첫인상을 나열해본다.

‘약함(약자), 보호받고 싶은, 피해자라는 느낌, 의존적, 수동적’

하나같이 (보여지는 혹은 남에게 들키고 싶지 않은 진짜 내 모습인) 나를 묘사하는 의미들이 줄줄 딸려나온다.

나의 과거 기억도 되짚어 본다.

하나. 가족사가 만들어 낸 나의 인식...

부모님의 이혼으로 외가댁에서 시작된 나의 어린 시절은 스스로 나는 가엾고, 불쌍한 존재라는 타이틀을 만들어냈다. 외삼촌들에 비해 외할아버지의 사랑을 많이 받고, 중간정도의 생활을 활을 했음에도 난 늘 피해자이고, 약자였다. 특히, 자존심이 강하고, 조용히 주목받고 싶어하는 양자리적 기질. 또 가끔씩 외할아버지와 외삼촌들간의 불화, 외할아버지의 불같은 성향으로 인해 무지막지 외할머니를 호통치시는 기억들이 나를 더욱 힘들게 했다.

생각해 보면, 나에게 ‘가족, 집’이란 최대한 빨리 독립해야 할 대상이었다. 그 신념이 어쩜 나를 물리적 독립을 가능케 한 힘을 제공하긴 했으나 정신적으로는 나를 더욱 나약하고, 의존적으로 만든 동정의 대상이 되게 한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주어진 상황 속에서 ‘어찌할 수 없어’ 저절로 생성된 나의 인식과 신념.

지금 생각해보면 어린 시절, 나의 인식을 재조종 해 줄 ‘무언가의 부재’이다.

두 번째. 대학 때 겪어야 했던 소외감에 대한 기억.

대학교 1학년 때, 나는 사랑을 했다. 나를 설레게 하는 사람이었고, 같이 있으면 참 좋은 사람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는 사랑의 이름으로 다가온 나에게는 의존의 대상이었지만..)거기까진 좋았다. 누군가와 함께 한다는 것. 그런데 뭔가 잘못된 만남이었을까. 참 우습게도난 질투의 대상이 되면서 근 이년간 누군가에게 투명인간이 되어야만 했다. 그다지 사교적이지 않은 나의 성향상 나는 그들을 피해다녀야 마음이 놓였고, 어마어마한 감정의 소욜돌이 속에서 사람과 관계에 대한 두려움을 증폭시켜야 했다. 말 그대로 나는 ‘동정받아야 마땅한’존재가 된 것이다. 사랑을 얻었지만, 사람을 잃은. 아니, 해본 적도 없는 나에 대한 사랑의 기회를 잃은.

직관인지, 잉카네이션의 penetration의 영향인지, 빠르게 전해져오는 환경적(사람, 분위기 등) 코드들. 그로 인해 나는 더 힘들었다. 차라리 곰처럼 무딘 성향이면 나았으련만.

그 당시엔 나에게 어떤 선택의 대안이 없었다. 방법을 몰랐으니. 나의 감정을 컨트롤 하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거대한 장벽이었다. 나를 성장시키는 데 써야 할 에너지들을 모두 감정적으로 함몰시켜버렸고, 외부로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분산시켜 나는 살아있지만 껍데기 뿐인 존재였다. 상황이 그렇게 될수록 나는 더욱 나의 사랑의 대상에 집착하고, 의존하게 되었다. 그 당시엔 명상도 몰랐고, 지금의 훈련의 맥락과 같은 지식(정보)은 어디서도 접할 수 없었다. 그저 모든 것을 나의 부적절한 성향탓으로 돌릴 수밖에 없었다. 우울한 나의 기질, 남들과 다른 나의 탓.

지금 생각하면, 나는 그저 나의 특성화된 디자인을 가지고 있을 뿐인, 매커니즘적 생명체에 불과한데 말이다.

내 짧은 삼십년 조금 넘는 인생. 그 중, 삶에 대한 인지가 시작된 시기를 7세로 본다면 24년 남짓한 시간을 내가 나를 약자요, 피해자요, 동정 받을 대상이라는 인식을 하고 살아온 셈이다. 내 세포 속속들이 특정 상황에 쳐하면 ‘우리는 동정받을 세포들이야..’라는 인식을 하면서 살아온 셈이다. 으. 아찔하다.

하지만 위 두 가지는 내가 인식하고 있는 부분이다. 어느 정도 치유가 되었고, 치유되고 있다 생각한 것들인데, 왜 굳이 이 바이얼이 나왔을까. 나를 가로 막고 있는 특정 기억에 대한 인식에서 더 깊이 들어가 보라는 신호일까. 더 깊은 감정적 수용이 필요한 것일까.

내가 나를 동정의 대상으로 바라보고 있기에, 온전한 자유함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현재 나의 위치를 점검해본다. ‘나는 동정받을 존재다’에 대해 스스로 부인할 수 없는 바, 그러한 인식이 지금의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생각해 본다.

‘차라리 동정받고 싶은, 두려운, 보호받고 싶은’

역시나 나는 그 그늘을 벗어나지 못했다. 나는 아직도 스스로 일어서기에 두려워하는 존재다. 의식의 차원을 기준으로 나의 의식을 측정한 결과 백 얼마의 대역으로 ‘두려움’의 영역에 속해 있었다.

이와 관련된 나의 이슈들을 해소하고 나면 나의 의식의 레벨이 한 단계 높아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인식하고 있는, 인식하지 못하는 나의 이슈를 해소하는 것으로부터 느낄 수 있는 ‘의식의 자유함‘

자각을 하고 나면 교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의식혁명의 서문에 보면 저자는 이 책을 끝까지 읽는 것만으로도 의식레벨이 높아진다 했다고 밝혔다. 그만큼 정보를 아는 것과 모르는 것에 대한 질적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번 HD&바이얼 세션을 통해 나는 나의 내면 깊숙이, 자각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내 인식의 범위 내에 있는 사건들을 다시금 꺼내놓고, 그 당시 의식이 지금보다 낮았을 때의 나의 생각과 감정들을 재생해본다. 그리고 지금 조금 변화된 나의 의식수준으로 객관적으로 검토해본다.

내가 과연 정말, 동정 받을 존재인가.

내가 약한 존재인가. 내가 피해자인가.

나는 3/6 프로파일, 인테그레이션-인디비줠 우세형의 G이다. 어떠한 상황에도 자주적일 수 있는, 나만의 직관(느낌)에 따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런데  내면의 부적절한 신념으로 인해 위축된 삶을 살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어쩜, 3-60 포맷 채널을 발현을 위한 가장 밑작업이 될 수 있는 것이 ‘동정받을 대상이라 생각하는 나’에 대한 재인식, 이와 관련한 감정적 해소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변화를 위한, 내 삶을 재정렬 시키기 위한, 내 디자인대로 살기 위해 ‘한방에’라는 생각은 가당찮다. 천천히,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 하면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번 세션을 하며 느낀것은 그 출발점에서 나에게 더 적절한 정보로 포커싱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는 것이다. 어디에 나의 에너지를 써야할지, 통증을 느끼지는 않지만 내 몸 어디가 병들어 있고, 어디를 치료해야 할지를 알게 된 것이다.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라는 말이 새삼 다르게 느껴진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첫째는 아픈손가락이다. 내가 준비 안 된 상태에서 와서 그런지 초초초 예민아이다. 뱃속에서 나올 때 울음소리부터가 둘째와 다르다. 첫째는 짜증섞인 소리였는데 둘째는 울지를 않아서 당황했었다. 첫째는 나의 깨어남을 가속시켜주려 왔나보다. 의식 무의식 집단무의식에 있는 분노를 자꾸 꺼내준다. ㅠ 세션받은 후 첫째는 나의 행동에 훨씬 예민하게 반응한다. 내가

요즘 나의 상태가 바닥을 치고 있기에 계속 무언가 케어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예전에 함께 다양한 코칭관련 강의를 들으러 다니던 지인으로 부터 "1day 집중 Intensive 워크숍"이 열리니 함께 참가해 볼 생각이 없냐는 이야기를 들었다. 하루동안 집중적으로 나를 좀더 들여다 볼 수 있는 시간이 생긴다는 이야기에 주저 없이 알았다고 했다

Reflection on the conversational treatment Tony K.Lee Months ago I was mentally experiencing the worst situation through my entire life, my brain was filled with great fear and depression. Before givi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