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익명

한 주간을 되돌아 보면 지난 주 세션 후 시민의 숲 산책 때가 기억에 남습니다.

세션과 복잡계 네트워크의 연결이 되면서 페이스북에 올렸던 글이 그 숲에서 작성했던 글 입니다.

아마도 그 글을 작성하는 중에 천골반응이 있었지 않나 싶습니다.

​제가 아는 한 가장 폭넓은 체계인 휴먼디자인과 복잡계 네트워크의 만남이 당시 저에게 큰 울림이 있었습니다. 아직 가능성 이전의 잠재성 정도의 흐릿한 그림이라 할지라도 사람의 경향성에도 분명 배경에 작동하는 원리가 작동할 것이고, 그런 원리적 접근을 통해서 자기다운 삶이 올바로 펼쳐질 수 있겠다는 가능성을 보았습니다. 평소에 인식하지 못한 바이얼의 명제 하나가 과거 기억들과 연결되어 이해되는 경험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됩니다.

며칠 뒤에 집에서 공부하다가 호포..지혜에서 내면아이에 대한 부분을 읽으면서 두 세살 어릴 때 매우 낮은 에너지 상태였다는 말씀도 생각나고 머리에선 잊혀졌지만 남아있는 오랜 기억들에 대한 참회의 필요성도 다시 느꼈습니다.

PTL과정 기간이 지나면서 그 느낌들은 다시 잊고 있었구요.^^ 망각의 좋은 작용들도 있겠지만 필요성을 느낀 것들 유지해야 할 것들도 동시에 잊혀지는 부작용도 따라왔네요. 요즘 뜸해지긴 했지만 참장을 설 때면 정화를 하고 있습니다.

경제활동의 오랜 공백으로 불편한 마음이 간간히 드는데 중심을 잡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회피하지도 않고 억지로 나서지도 않으면서 바라보는 게요. 가끔씩 요즘 저의 인생 드라마의 전개가 너무 더뎌서 루즈해진 것 같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우리는 매 순간 '변화'해야만 하는 현대 사회에 살고 있다.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나'를 나타내는 스펙, 이미지, 온화한 품성 등이 있다. 그러나 진정한 '나'로써 살아가는 여정은 남의 부러움을 사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므로 위의 것을 전부 지킬 필요는 없다. 나는 '나'로써 살기 위해 무던히 애를 썼다. 그 과정에서 나 스스로가 감정이 분노하고

bottom of page